06 Mar 2017
|
알고리즘
프로그래밍
level 1. 수박수박수박수박수박수?
출처
문제
water_melon함수는 정수 n을 매개변수로 입력받습니다.
길이가 n이고, 수박수박수…와 같은 패턴을 유지하는 문자열을 리턴하도록 함수를 완성하세요.
예를들어 n이 4이면 ‘수박수박’을 리턴하고 3이라면 ‘수박수’를 리턴하면 됩니다.
풀이 (python)
def water_melon(n):
return ("수박"*n)[:n]
# 실행을 위한 테스트코드입니다.
print("n이 3인 경우: " + water_melon(3));
print("n이 4인 경우: " + water_melon(4));
풀이 (java)
public class WaterMelon {
public String watermelon(int n){
String result="";
for(int i=1; i<n+1; i++){
result += (i % 2 == 1)? "수" : "박";
}
return result;
}
// 실행을 위한 테스트코드입니다.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
WaterMelon wm = new WaterMelon();
System.out.println("n이 3인 경우: " + wm.watermelon(3));
System.out.println("n이 4인 경우: " + wm.watermelon(4));
}
}
다른사람 풀이(java)
public class WaterMelon {
public String watermelon(int n){
StringBuffer sf = new StringBuffer();
for (int i=1; i<=n; ++i) {
sf.append(i%2==1?"수":"박");
}
return sf.toString();
}
// 실행을 위한 테스트코드입니다.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
WaterMelon wm = new WaterMelon();
System.out.println("n이 3인 경우: " + wm.watermelon(3));
System.out.println("n이 4인 경우: " + wm.watermelon(4));
}
}
public class WaterMelon {
public String watermelon(int n){
String repeated = new String(new char[n]).replace("\0", "수박");
return repeated.substring(0,n);
}
// 실행을 위한 테스트코드입니다.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
WaterMelon wm = new WaterMelon();
System.out.println("n이 3인 경우: " + wm.watermelon(3));
System.out.println("n이 4인 경우: " + wm.watermelon(4));
}
}
배운점
- 슬라이싱 기능을 잘 활용하자
- java 3항 연산자
- replace 메소드
- StringBuffer 클래스 (String클래스와 달리 동적 문자열을 처리하는 클래스)
- toString 메소드
06 Mar 2017
|
알고리즘
프로그래밍
level 1. 자릿수더하기
출처
문제
sum_digit함수는 자연수를 전달 받아서 숫자의 각 자릿수의 합을 구해서 return합니다.
예를들어 number = 123이면 1 + 2 + 3 = 6을 return하면 됩니다.
sum_digit함수를 완성해보세요.
풀이 (python)
# 풀이1
def sum_digit(number):
result = 0
for i in str(number):
result += int(i)
return result
# 풀이2
def sum_digit(number):
from functools import reduce
return reduce(lambda x,y:int(x)+int(y), str(number))
# 아래는 테스트로 출력해 보기 위한 코드입니다.
print("결과 : {}".format(sum_digit(123)));
다른사람 풀이
def sum_digit(number):
return sum([int(i) for i in str(number)])
# map 활용
def sum_digit(number):
return sum(map(int, str(number)))
배운점
- for in 반복문은 iterable한 오브젝트만 대상으로 할 수 있다.
- int()를 통해서 string을 정수로 변환한다.
06 Mar 2017
|
알고리즘
프로그래밍
level 1. 삼각형출력하기
출처
문제
printTriangle 메소드는 양의 정수 num을 매개변수로 입력받습니다.
다음을 참고해 *
(별)로 높이가 num인 삼각형을 문자열로 리턴하는 printTriangle 메소드를 완성하세요
printTriangle이 return하는 String은 개행문자(‘\n’)로 끝나야 합니다.
풀이 (python)
def printTriangle(num):
s = ""
for i in range(num):
s += '*'*(i+1)+'\n'
return s
# 아래는 테스트로 출력해 보기 위한 코드입니다.
print( printTriangle(3) )
다른사람 풀이
def printTriangle(num):
return ''.join(['*'*i + '\n' for i in range(1,num+1)])
배운점
- ’‘.join(List) 를 통해서 리스트의 각 요소를 그대로 붙여서 스트링으로 만들 수 있다.
풀이 (java)
public class PrintTriangle {
public String printTriangle(int num){
String result = "";
for(int i=1; i<=num; i++){
String star = new String(new char[i]).replace("\0", "*");
result += star + "\n";
}
return result;
}
// 아래는 테스트로 출력해 보기 위한 코드입니다.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PrintTriangle pt = new PrintTriangle();
System.out.println(pt.printTriangle(3) );
}
}
다른사람 풀이
public class PrintTriangle {
public String printTriangle(int num){
String result = "";
String stars = "*";
for(int i=0; i<num; ++i){
result += stars+"\n";
stars += "*";
}
return result;
}
// 아래는 테스트로 출력해 보기 위한 코드입니다.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PrintTriangle pt = new PrintTriangle();
System.out.println( pt.printTriangle(3) );
}
}
배운점
06 Mar 2017
|
알고리즘
프로그래밍
level 1. 정수제곱근판별하기
출처
문제
nextSqaure함수는 정수 n을 매개변수로 입력받습니다.
n이 임의의 정수 x의 제곱이라면 x+1의 제곱을 리턴하고, n이 임의의 정수 x의 제곱이 아니라면 ‘no’을 리턴하는 함수를 완성하세요.
예를들어 n이 121이라면 이는 정수 11의 제곱이므로 (11+1)의 제곱인 144를 리턴하고, 3이라면 ‘no’을 리턴하면 됩니다.
풀이 (python)
# 풀이 1
import math
def nextSqure(n):
return pow(math.sqrt(n)+1, 2) if int(math.sqrt(n)) == math.sqrt(n) else 'no'
# 아래는 테스트로 출력해 보기 위한 코드입니다.
print("결과 : {}".format(nextSqure(121)));
# 풀이 2
def nextSqure(n):
for i in range(1,n//2):
if i * i == n:
return (i + 1) ** 2
if i * i > n:
return 'no'
# 풀이 3
def nextSqure(n):
t = int(pow(n, 0.5))
return (t+1)**2 if t**2==n else 'no'
# 참고 - 제곱근을 구하는 여러가지 방법
# n ** 5
# pow(n, 0.5)
# math.sqrt(n)
다른사람 풀이
def nextSqure(n):
sqrt = n ** (1/2)
if sqrt % 1 == 0:
return (sqrt + 1) ** 2
return 'no'
def nextSqure(n):
sqrt = pow(n, 0.5)
return pow(sqrt + 1, 2) if sqrt == int(sqrt) else 'no'
# 아래는 테스트로 출력해 보기 위한 코드입니다.
print("결과 : {}".format(nextSqure(121)));
배운점
- 파이썬 삼항 연산자 (conditional expressions)을 활용하니 짧게 코드를 짤 수 있었다.
- 제곱근을 구하려면
import math
를 통해서 모듈을 임포트하고 math.sqrt()
함수를 통해서 제곱근을 구할 수 있다.
- int() 를 통해서 주어진 인수를 정수로 변환할 수 있다.
pow(4,2)
과 4 ** 2
(=16) 을 통해서 제곱 연산을 할 수 있다.
- 반대로
pow(4,0.5)
과 4 ** 1/2
(=2) 을 통해서 제곱근을 구할 수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