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70308_TIL

|

오늘 한 일

  • 기초 알고리즘 문제를 풀었다. 드디어 tryhelloworld 알고리즘 문제 Level1을 모두 풀었다. 점점 어려워 지는 것 같지만 꾸준히 Level 7 까지 풀고싶다.
  • 첫 장고 개인프로젝트 메모 사이트 에 회원가입, 로그인, 로그아웃 기능을 추가하였다. 기존 모델을 수정하여 ForeignKey를 활용해 User 모델과 연결했다.

내일 할 일

  • 글 삭제시 작성자만 삭제할 수 있도록 기능 추가
  • 정호영님 장고 강의 듣기
  • 알고리즘 문제 풀기

파이썬 정렬시 특정 기준으로 정렬하는 방법 - key Fucntion, repr 메소드

|

Key Functions

list.sort(), sorted() 를 통한 정렬 시 비교 기준이 되는 key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다.

sorting 할때 key 값을 기준으로 정렬

  • 가이드 문서
  • key 파라미터의 값은 하나의 인자를 받고, 정렬 목적을 위한 키를 리턴하는 함수가 되어야 한다.
# 공백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누어 리스트로 변환한다
# 리스트로 변환시
>>> sorted("This is a test string from Andrew".split(), key=str.lower)
['a', 'Andrew', 'from', 'is', 'string', 'test', 'This']

복잡한 객체를 정렬할 때 자주 사용

>>> student_tuples = [
...     ('john', 'A', 15),
...     ('jane', 'B', 12),
...     ('dave', 'B', 10),
... ]
>>> sorted(student_tuples, key=lambda student: student[2])   
# sort by age
[('dave', 'B', 10), ('jane', 'B', 12), ('john', 'A', 15)]

이름표가 있는 속성을 가진 객체에서도 자주 사용

>>> class Student:
...     def __init__(self, name, grade, age):
...         self.name = name
...         self.grade = grade
...         self.age = age
...     def __repr__(self):
...         return repr((self.name, self.grade, self.age))

__repr__ 메서드의 오버라이딩

  • 참고글
  • __repr__ 메서드를 정의하지 않으면 object 클래스가 가진 기본 __repr__ 메서드를 사용한다. 이 함수는 클래스 이름과 변수가 위치하고 있는 메모리 주소를 <>안에 써서 반환한다.
  • repr() 은 __repr__ 메소드를 호출하고, str() 이나 print 는 __str__ 메소드를 호출하도록 되어있는데, __str__ 은 객체의 비공식적인(informal) 문자열을 출력할 때 사용하고, __repr__ 은 공식적인(official) 문자열을 출력할 때 사용한다.
  • 쉽게 말하면 __str__ 은 사용자가 보기 쉬운 형태로 보여줄 때 사용하는 것이고, __repr__ 은 시스템(python interpreter)이 해당 객체를 인식할 수 있는 공식적인 문자열로 나타내 줄 때 사용하는 것이다.
>>> student_objects = [
...     Student('john', 'A', 15),
...     Student('jane', 'B', 12),
...     Student('dave', 'B', 10),
... ]
>>> sorted(student_objects, key=lambda student: student.age)   # sort by age
[('dave', 'B', 10), ('jane', 'B', 12), ('john', 'A', 15)]

level 1. 문자열 다루기 기본

|

level 1. 문자열 다루기 기본

출처

문제

alpha_string46함수는 문자열 s를 매개변수로 입력받습니다. s의 길이가 4혹은 6이고, 숫자로만 구성되있는지 확인해주는 함수를 완성하세요. 예를들어 s가 “a234”이면 False를 리턴하고 “1234”라면 True를 리턴하면 됩니다

풀이 (python)

def alpha_string46(s):
	if len(s) == 4 or len(s) == 6:
		try:
			int(s)
		except ValueError:
			result = False
		else:
			result = True
	else:
		result = False
	return result
# 아래는 테스트로 출력해 보기 위한 코드입니다.
print( alpha_string46("a234") )
print( alpha_string46("1234") )

다른사람 풀이

def alpha_string46(s):
    return s.isdigit() and (len(s) == 4 or len(s) == 6)

배운점

  • 예외처리 (try-except)를 활용했다.
  • String.isdigit() 을 통해서 해당 문자열이 숫자로만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다.
  • 파이썬에서는 논리연산자 &&, || 를 사용할 수 없다. and, or 을 사용한다.

level 1. 문자열 내 마음대로 정렬하기 - Key Functions, __str__, __repr__

|

level 1. 문자열 내 마음대로 정렬하기

출처

문제

strange_sort함수는 strings와 n이라는 매개변수를 받아들입니다. strings는 문자열로 구성된 리스트인데, 각 문자열을 인덱스 n인 글자를 기준으로 정렬하면 됩니다.

예를들어 strings가 [“sun”, “bed”, “car”]이고 n이 1이면 각 단어의 인덱스 1인 문자 u, e ,a를 기준으로 정렬해야 하므로 결과는 [“car”, “bed”, “sun”]이 됩니다. strange_sort함수를 완성해 보세요.

풀이 (python)

def strange_sort(strings, n):
    return sorted(strings, key=lambda element:element[n])

# 아래는 테스트로 출력해 보기 위한 코드입니다.
print( strange_sort(["sun", "bed", "car"], 1) )

배운점

  • sorted() 함수는 정렬된 결과 값을 바로 리턴한다.
  • 대문자는 소문자 보다 우선한다. ([‘A’, ‘a’, ‘ab’])
  • Key Functions
  • sorting 할때 key 값을 기준으로 정렬할 수 있다. 가이드 문서
    • list.sort(), sorted() 둘다 정렬시 비교 기준이 되는 key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다.
# 공백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누어 리스트로 변환한다
# 리스트로 변환시
>>> sorted("This is a test string from Andrew".split(), key=str.lower)
['a', 'Andrew', 'from', 'is', 'string', 'test', 'This']
  • key 파라미터의 값은 하나의 인자를 받고, 정렬 목적을 위한 키를 리턴하는 함수가 되어야 한다.

  • 일반적으로 어떤 객체를 키로 사용하는 복잡한 객체를 정렬할 때 자주 사용된다.

>>> student_tuples = [
...     ('john', 'A', 15),
...     ('jane', 'B', 12),
...     ('dave', 'B', 10),
... ]
>>> sorted(student_tuples, key=lambda student: student[2])   
# sort by age
[('dave', 'B', 10), ('jane', 'B', 12), ('john', 'A', 15)]
  • 이와 같은 테크닉은 이름표가 있는 속성을 가진 객체에서도 자주 사용된다.
>>> class Student:
...     def __init__(self, name, grade, age):
...         self.name = name
...         self.grade = grade
...         self.age = age
...     def __repr__(self):
...         return repr((self.name, self.grade, self.age))
  • __repr__ 메서드를 정의하지 않으면 object 클래스가 가진 기본 __repr__ 메서드를 사용한다. 이 함수는 클래스 이름과 변수가 위치하고 있는 메모리 주소를 <>안에 써서 반환한다.
  • repr() 은 __repr__ 메소드를 호출하고, str() 이나 print 는 __str__ 메소드를 호출하도록 되어있는데, __str__ 은 객체의 비공식적인(informal) 문자열을 출력할 때 사용하고, __repr__ 은 공식적인(official) 문자열을 출력할 때 사용한다.
  • 쉽게 말하면 __str__ 은 사용자가 보기 쉬운 형태로 보여줄 때 사용하는 것이고, __repr__ 은 시스템(python interpreter)이 해당 객체를 인식할 수 있는 공식적인 문자열로 나타내 줄 때 사용하는 것이다.
>>> student_objects = [
...     Student('john', 'A', 15),
...     Student('jane', 'B', 12),
...     Student('dave', 'B', 10),
... ]
>>> sorted(student_objects, key=lambda student: student.age)   # sort by age
[('dave', 'B', 10), ('jane', 'B', 12), ('john', 'A', 15)]

level 1. 같은 숫자는 싫어

|

level 1.같은 숫자는 싫어

출처

문제

no_continuous함수는 스트링 s를 매개변수로 입력받습니다.

s의 글자들의 순서를 유지하면서, 글자들 중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아이템은 제거된 배열(파이썬은 list)을 리턴하도록 함수를 완성하세요. 예를들어 다음과 같이 동작하면 됩니다.

s가 ‘133303’이라면 [‘1’, ‘3’, ‘0’, ‘3’]를 리턴 s가 ‘47330’이라면 [4, 7, 3, 0]을 리턴

풀이 (python)

1

def no_continuous(s):
    result = []
    for i, v in enumerate(s):
        if i == 0:
            result.append(v)
        elif s[i-1] == v:
            continue
        else:
            result.append(v)
    return result
# 아래는 테스트로 출력해 보기 위한 코드입니다.
print( no_continuous( "133303" ))

2

list comprehension을 활용하여 코드 길이를 줄였다.

def no_continuous(s):
    # 함수를 완성하세요
	return [v for i, v in enumerate(s) if i==0 or s[i-1] != s[i]]

# 아래는 테스트로 출력해 보기 위한 코드입니다.
print( no_continuous( "133303" ))

배운점

  • enumerate() : 순서가 있는 자료형 (리스트, 튜플, 문자열)을 입력으로 받아 인텍스 값을 포함하는 enumerate 객체를 리턴한다.